이 글은 드림코딩님 유투브 도커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[글을 쓰는 이유]테커 프로젝트를 하면서 도커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.팀원 중 한분이 Dockerfile, docker-compose.yml파일을 만들어 주셨고 docker compose up 등 명령어를 알려주셨다.나는 docker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원리는 전혀 모른체 기계적으로 docker container를 통해 spring서버와 mysql, rabbitMQ등을 사용하였다.그러다보니 도커는 왜 사용하는 거지?와 도커는 어떻게 작동하는거지?라는 궁금증이 생겼다.그저 내가 느낀 도커의 신기했던 점은내 로컬 컴퓨터에는 mysql이 깔려있지 않은데 mysql서버에 접속하고 사용가능했다는 점..!또 어렴풋이 같이 작업하는 팀원들 모두 같..
"고도화 작업" : 시스템을 초기 개발 단계에서부터 더 나은 상태로 개선하거나 최적화하는 작업. 개발자는 무엇을 하는 직업인가? -> 그저 단순히 코딩하고 웹, 앱등을 만드는 사람..? 개발자를 진로로 정한지 1년이 넘었지만, 이 근본적인 질문에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었던 것같다. 지금까지 실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해 본적이 없었기 때문이다. 그렇기 때문에 그냥 작동만 되면 OK였다. 하지만 이번에 좋은 기회로 실제 서비스 사용자(심사위원, 뭐 다른 참가자들)가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았다. 그러다 보니 사용자의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보게 되었고, 단순 개발로 작동여부에만 그치는게 아니라 "고도화 작업"이 필수라는 것을 깨닫았다. 내가 해본 첫번째 고도화 작업이 바로 Celery & RabbitMQ..
web 개발 관련 공부를 하다보면 CRUD 나 REST API개념에 대해서 정말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. 하지만 그래서 이게 뭔데?라고 누군가 물어본다면 쉽게 설명하기 어렵다. 이번 기회에 이 두 개념에대해 확실히 정리하려고 이 글을 쓴다. API란?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.(이게 이해가 되겠냐..?) 비유를 통해 설명하겠다. TV는 사용자가 TV를 키고 끄고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어야한다. 그래서 리모콘이있다. 컴퓨터는 사용자가 입력하고 클릭할 수 있게 해주어야한다. 그래서 마우스가 있는 것이다. 이러한 리모콘,마우스가 ..